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귀농 창업자금 사업계획서 합격 사례 분석과 작성 팁 총정리

by 유레카7win 2025. 4. 2.
728x90
반응형

 

 

정부의 귀농 창업자금을 신청할 때 가장 중요한 서류가 바로 ‘사업계획서’입니다.

어떤 계획서는 통과되고, 어떤 계획서는 탈락될까요?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실제 합격 사례를 바탕으로 항목별 구성과 작성 팁을 정리해드립니다.

---

1. 왜 사업계획서가 가장 중요할까?

서류심사와 면접심사 모두에서 “이 사람이 귀농을 진짜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인지”를 판단하는 핵심 근거가 사업계획서입니다.

✔ 심사위원이 보는 포인트

  • 계획의 현실성: 말뿐 아닌 실행 가능성
  • 수익 모델의 구조: 매출, 판로, 비용 구조
  • 지역 정착 의지: 지역 기반 활용 여부

---

2. 합격한 사업계획서 사례 요약

[2024년 하반기 선정자 A씨 사례]

- 귀농 지역: 전북 고창 - 재배 품목: 참외(소형 하우스), 유기농 인증 준비 - 주요 판로: 로컬푸드 직매장 1곳 + SNS 직거래

- 연간 매출 목표: 1,500만 원 (초기) → 3년 내 3,000만 원

- 자금 활용 계획: - 하우스 설치: 6천만 원 - 관수시설: 1천만 원 - 종자·비료 등: 5백만 원

- SNS 홍보: 3백만 원 - 정착 요소: - 가족 동반 이주 - 지역 귀농학교 이수 + 농기술센터 교육 참여

- 마을 회관 행사 및 협동조합 참여

▶ 왜 합격했을까?

  • 재배 품목이 구체적이고 수익 모델이 뚜렷함
  • 단순 생산이 아닌 **“판매 계획”이 강점**
  • 영농경험은 없어도, 교육 이수 + 정착 의지가 높았음

---

3. 항목별 작성 팁

① 창업 배경 및 동기

- 농촌 이주 이유, 귀농 결정 계기 - 가족과 함께 정착할 계획이 있는지

→ 진정성 있게 서술, 너무 추상적이면 감점

② 재배 품목 및 생산 계획

- 주 작목 1~2개에 집중 - 작기별 수확 계획, 연간 예상 수량

→ 실제 면적과 인력으로 가능한 수준이어야 함

③ 판로 및 유통 전략

- 로컬푸드, 마켓컬리, 온라인 플랫폼 등 - 지자체 지원사업 활용 여부

→ “계약 예정” “협의 중” 문장도 가점 요소

④ 자금 사용 계획

- 총 필요 자금 중 창업자금으로 사용하는 항목만 기재 - 시설비, 자재비, 홍보비 등 분리 작성

→ 전체 금액의 구성비율이 합리적이어야 함

⑤ 예상 수익 및 3년 목표

- 연 매출, 비용, 순이익 개별적으로 추산 - “초기 적자는 있지만, 2~3년차부터 흑자 전환” 흐름 추천

→ 수익이 너무 크거나 작으면 비현실적으로 보일 수 있음

⑥ 지역 정착 계획

- 귀농 교육 수료, 농업기술센터 상담 이력 - 마을활동, 협동조합 참여 계획 등

→ 단순 ‘살겠습니다’보다 구체적 활동계획이 중요

 

---

4. 작성 시 유의사항

  • 막연한 계획보다 **수치·데이터 중심 작성**
  • ‘~할 예정이다’보다 ‘계약 중’, ‘협의 완료’ 표현 추천
  • 사진, 도면, 약도, 시제품 사진 등 첨부 가능
  • 자필 제출이라면 문장 깔끔하게, 맞춤법 신경쓰기

---

5. 마무리 요약

| 항목 | 핵심 포인트 |

|------|-------------|

| 작목 계획 | 면적과 인력 대비 수익 가능성 |

| 판로 전략 | 유통망, 협력업체 유무 |

| 자금계획 | 합리적 분배와 사용처 |

| 수익 추정 | 3년 로드맵 중심 |

| 지역 정착 | 교육·활동 실적 포함 |

---

마무리하며

귀농 창업자금 사업계획서는 단순한 서류가 아닌, 내가 농업을 ‘직업’으로 준비하고 있다는 진정성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.

✔ 재배부터 판매까지 구체적으로

✔ 지역 네트워크와 교육 이력 강조

✔ 실현 가능한 수익 계획 제시

 

이 글을 참고해 나만의 사업계획서를 탄탄하게 작성해보세요! 

😊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