귀농하고 나면 소득은 줄어들고, 국민연금·건강보험료는 여전히 부담스럽죠.
하지만 농업인을 위한 국민연금 지원과 건강보험료 감면제도를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이번 글에서는
두 제도를 동시에 신청하는 방법, 조건, 필요서류, 실제 절차
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---
1. 왜 두 제도를 함께 신청해야 할까?
| 항목 | 정부 지원 혜택 | 본인 부담 감소 |
|------|--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|
| 국민연금 | 매달 납입액의 50% 지원 | 노후 연금 대비 |
| 건강보험 | 매달 보험료의 최대 50% 감면 | 의료비 걱정 감소 |
월 수만 원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 + 장기적으로 노후 보장까지 가능
---
2. 신청 자격 요건 (2025년 기준)
- 농업경영체 등록자 (개인 or 법인 가능)
- 귀농 5년 이내 or 농업 종사 중
- 국민연금 지역가입자, 건강보험 지역가입자
- 연소득 기준 완화 (9,720만원 이하)
※ 임대소득·알바소득이 있어도 농업이 주업이면 대부분 가능
---
3. 동시 신청 절차 요약
- 농업경영체 등록 (농관원 or 시청 농정과)
-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→ 건강보험 감면 신청
-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→ 연금 보험료 지원 신청
- 서류는 중복 사용 가능 (농업경영체 확인서 등)
---
4. 제출 서류 목록
| 공통 서류 | 설명 |
|------------|--------|
|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| 농림축산식품부 발급 or 농관원 |
| 주민등록등본 | 주소지 확인용 |
| 국민연금 신청서 | 연금공단에서 양식 제공 |
| 건강보험 감면 신청서 | 건강보험공단 지사에서 작성 |
---
5. 실전 꿀팁
✅ **국민연금공단과 건강보험공단은 별도 기관** → 두 곳 모두 방문 or 전화 신청해야 함
✅ **한 번에 처리하고 싶다면** → 서류를 2부씩 준비해서 각 기관 제출
✅ **지자체 농정과 or 귀농귀촌센터에 먼저 문의하면 빠름**
---
6. 지원 금액 예시 (2025년 기준)
| 항목 | 월 기준 | 연 기준 |
|--------|----------|----------|
| 국민연금 지원 | 최대 72,000원 | 최대 약 86만원 |
| 건강보험 감면 | 최대 60,000원 | 최대 약 72만원 |
| 연간 총 혜택 | 약 158만원 절감 |
귀농 초기 비용 부담이 큰 분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!
---
7. 마무리하며
귀농하면 정부 지원이 많지만, ‘신청 안 하면 못 받는 제도’가 대부분입니다.
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감면은 한 번 신청해두면 장기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핵심 제도입니다.
지금 바로 농업경영체 등록 여부를 확인하시고, 가까운 국민연금공단·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