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귀농 창업자금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. 많은 분들이 “창업자금 받으면 그다음은 뭐가 있죠?”라는 질문을 하시는데요,
사실 그 다음이 더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**귀농 창업자금 수혜 이후 받을 수 있는 정부 및 지자체 연계 지원사업**을 정리해드립니다.
---
1. 영농정착 지원금 (청년 귀농인 대상)
- 대상: 만 40세 미만 청년 귀농인
- 지원 내용: 월 최대 100만 원 × 3년간 지급
- 조건: 농업경영체 등록 / 창업자금 수혜자 가점
- 용도: 생활안정, 영농활동 기반 구축 등
---
2. 농기계 임대 및 보조 지원
- 대상: 창업자금 수혜 후 실제 재배를 시작한 농가
- 지원 방식: 농기계 임대료 50~70% 감면 or 일부 장비 보조금
- 신청처: 해당 시·군 농업기술센터
- 예시: 관리기, 동력분무기, 비닐피복기 등
---
3. 농산물 포장재 및 브랜드 지원
- 대상: 본인 농산물 판매 시작한 농가
- 지원 내용: 포장재 제작비 일부 (스티커, 상자, 비닐 등)
- 비율: 자부담 30~50% / 보조 50~70%
- 신청처: 지자체 귀농귀촌팀 또는 로컬푸드 센터
---
4. 6차 산업화 창업 지원
- 대상: 농산물 가공/체험/유통 접목 사업 준비자
- 지원 내용: 컨설팅, 시제품 제작, 창업 공간 임대 등
- 운영기관: 농촌진흥청, 지역 6차산업지원센터
- 예시: 곶감 가공, 농촌체험카페, 수제잼 제작 등
---
5. 로컬푸드 직매장 출하지원
- 대상: 지역 로컬푸드 등록 농가
- 지원 내용: 출하 등록비, 검사비, 기본교육 무료 제공
- 혜택: 정기적으로 판매 기회 확보, 소비자와 신뢰 구축
---
6. 시설 현대화·환경개선 지원
- 대상: 농업경영체 등록 농가 중 창업자금 수혜자
- 지원 내용: 하우스 단열, 자동 관수, 태양광 패널 등 설치비 일부 보조
- 보조 비율: 국비 + 지방비 = 약 50~70%
---
7. 후속 대출 프로그램 (농신보, 농협)
- 대상: 창업자금 집행 후 운영자금 추가 필요 농가
- 상품: 농업정책자금, 농협 농업인 창업대출
- 조건: 창업자금 수혜 이력 + 농업경영체 등록 필수
---
요약 표
| 사업명 | 내용 | 신청처 |
|--------|------|--------|
| 영농정착금 | 월 100만 원 × 3년 (청년) | 농정원 |
| 농기계 보조 | 장비 임대/보조 | 농업기술센터 |
| 포장재 지원 | 포장디자인 제작 | 시·군청 유통과 |
| 6차산업 지원 | 가공·체험 창업 컨설팅 | 농촌진흥청 |
| 로컬푸드 출하 | 등록·검사비 지원 | 로컬푸드 센터 |
| 시설 현대화 | 자동화 설비, 단열 지원 | 시·군청 농정과 |
| 추가 대출 | 창업 이후 자금 | 농협, 농신보 |
---
마무리하며
귀농 창업자금은 단지 첫 단추일 뿐입니다.
그 이후엔 ‘농사→판매→브랜드화→가공→확장’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연계 정책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.
✔ 창업자금 수령 후에도 시군청 공고는 꾸준히 확인
✔ 로컬푸드센터, 기술센터와의 연결 유지
✔ 자금 → 장비 → 유통 → 가공 → 교육 → 확장 순으로 계획 잡기
이 글을 참고해, 창업자금 이후에도 끊김 없이 지속가능한 귀농의 길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!
😊
728x90